2023/15. 왜 쓰는가?

글쓰기라는 임상

untold 2023. 8. 1. 22:20

 이번에도 너무 늦게 글을 쓴다. 매번 글을 올리는 약속시간을 어기고 있다.

  백지같이 아무것도 쓸 것이 없는 것 같은 막막함이 화면을 가득 채운다. 한때는 나의 배설물이였던 글들, 그리고 cartel에 참여하면서 쓰게된 발제문들, 정신분석가에게 보낸 메일, 짧은 리뷰들, 그리고 수많은 업무페이퍼.. 사실 머리속에는 끊임없이 생각이 돌아간다. 그 생각들을 지면에 옮기는 작업을 하게되면 아무것도 쓸 것이 없다는 것을 알게된다. 머리 속의 쓰레기를 받아 적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다행히 아무도 그 쓰레기 더미를 발견하지 못할 것이다. 내가 발화하거나 글을 쓰지 않는 이상. 그 오물을 정화하는 방법 중에 하나는 글쓰기 행위를 통해서이다.

  내 손은 오물을 거른다.  (물론 배설의 글쓰기도 있지만,,,) 생각이 말이 되기 전에 글을 쓰면,  내가 생각지도 못한 생각들이 지면에 놓이게 된다. 그 글들은 무의식적으로 발화 속에 섞인다. 나는 내 글을 모방하여 말하는 것 같다. 생각이 먼저 있고, 글이 나중이 아니라 글을 쓰면서 떠오른 아이디어를 발화하게 되는 것이다. 나의 경우 말보다 글이 우월하다. 맴도는 생각을 쓰면 앞으로 전진하게 되는 것을 느낀다.  그렇다면 글을 많이 쓰면 쓸수록 진전된 생각들을 발화하게 되니, 이것 역시 무의식을 바꾸는 좋은 방도가 되지 않을까. 말은 무의식적이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은 어떨지 모르겠다. 먼저 머리 속으로 정리하고 글을 쓰는지.. 나는 그냥 쓰면서 생각을 한다. 생각이 난다. 그렇기 때문에 무조건 쓰다보면 써지는데, 이렇게 스크린을 마주하기 까지가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는 것이다. 

  글쓰기에 대해서는 한 가지 또 떠오른 생각은 나의 글과 말투의 갭차이가 너무 크다는 사실이다. 현실의 말투를 그대로 글로 옮길 수가 없고, 글의 투를 현실로 옮기기도 어렵다. 평소 농담반 진담반의 어법을 사용하지만 글은 제법 진지하다. 여기서 분열의 상황이 드러난다고 생각이 들었다. 예전부터. 

그런데 정신분석경험은 어쩌면 글이 말이 되는 경험과 비슷한 듯 하다. 내 개인적 경험으로는 '하나의 무의식'만 그 공간에 존재하는 듯 했다. 말을 하면서 다른 생각이 들지 않았다. 글을 쓰면 다른 생각은 하기 어려워지는 것과 같이 글이 아니라 말을 하는데도 다른 생각이 들지 않아, 마치 자신이 한덩어리와 같이 느껴졌었다. 

지금은 흩어졌지만, 글쓰기라는 임상이 나에게 남아있다. 다시 쓰기와 읽기에 집중해야겠다. 

 

 

'2023 > 15. 왜 쓰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쓰기, 죽음의 권리  (2) 2023.07.23
분열적 글쓰기(김서은)  (3) 2023.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