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때때로 발이 지면에 닿지 않는 듯 세상이 당황스럽게 느껴졌습니다. ‘자기 자신’이라는 옷을 입고, 세상이라는 무대를 배회하는 하나의 거푸집 같았고, 자신을 바라보는 자신과의 대결 혹은 공범의식의 속에서 불안. 분열에 대한 불안감이 늘 있었습니다. 이러한 자의식을 벗어나기 위해 저는 구원받기를 원했습니다. 하지만 그 불안은 저를 ‘신’에게 데려가진 않았습니다. 인간과 닮아있는 신은 의심스러워 ‘전이’가 생기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 것을 끝장낼 수 있는 새로운 이념이 필요했습니다. 종교나 잠언, 철학과 문학 말로된 모든 것은 일시적으로 증상을 가라앉힐 수는 있었으나, 허무의 동공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저의 의심의 세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은 흑백의 남자 ‘라깡’이었습니다. 이 모든 것의 근원이 ‘언어’를 가지게 된 인류 문명의 한바탕 소동임을 알려주었기 때문입니다. 내용이 아니라 언어를 기반으로 살아가는 우리의 형식이 문제임을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무의식 역시 언어처럼 구조화되어있다고 라깡은 말합니다. 무의식의 주체는 우리를 지배하고 때로는 소등시킵니다. 무의식의 주체는 의식의 주체와 분열되어 서로를 등진채 상호 영향을 미칩니다. 이렇게 우리의 분열된 안과 밖을 꿰매는 것이 바로 시니피앙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우리는 시니피앙에 의해 표지되어지는 동시에 거세됩니다. 우리가 정신분석을 해야 하는 이유는 전적으로 시니피앙에 의해 욕망하는 기계로 살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주체성이 있을까요? 라깡은 인간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한다고 말합니다. 여기서의 타자는 대타자입니다. 그리고 이 대타자 역시 빗금 쳐 저 있는 이름뿐인 아버지일 뿐입니다. 대타자의 대타자는 없다는 뜻입니다. 라깡 정신분석은 우리의 욕망의 한계는 타자에 의해 구성된 욕망임을 환상의 횡단을 통해 내담자 스스로 깨닫게 만듭니다. 여기에는 어떤 낭만주의도 신비주의도 없습니다. 그저 언어의 횡단을 통해 내담자 스스로 자신의 무의식의 논리 너머에 공백뿐임을 깨닫게 되는 과정일 뿐입니다. 그 공백의 장소에서 우리는 새로운 환상을 만듭니다. 그것은 새로운 주체의 삶입니다. 이제 주이상스는 우리가 가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새로운 환상이 새로운 진리가 될 수 있도록 우리는 실재를 조우하는 '사건'에 충실해야 합니다. 정신분석과의 조우가 저에게는 일종의 사건이었습니다. 저는 그 '사건'을 붙잡았고, 충실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알랭바디우가 말했듯이 '진리의 충실성'만이 주체적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서은
Q1. 당황스럽게 느껴지는 세상과 불안을 야기하는 자의식 사이에는 어떤 연관이 있을까요?
A. 세상이 다 말도 안 되는데, 이렇게 살고 있다는 생각이 종종 듭니다. 모든 것이 낯설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이런 불안감을 느끼는 자신을 보는 자신을 또 보는 자신.. 마치 거울 속에 갇힌 것을 저는 자의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자의식이란 타자적 의식이라고 할 수 도 있을 것 같습니다.
Q2. 시니피앙과 욕망 사이의 관계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일까요?
또 시니피앙에 의해 욕망하는 기계로 살기 때문에 정신분석을 해야 하는 것이라면, 정신분석의 지향점은 무엇일까요? (공백의 장소에서 새로운 환상을 만든다면, 그리고 새로운 환상이 새로운 주체의 삶이고 새로운 진리라면, 라깡 정신분석은 욕망에서 환상으로 나아가는 과정처럼 읽히기도 합니다.)
A. 저는 여기서 빗금 친 주체를 만들어낸 시니피앙의 연쇄 속에서 주체가 끊임없이 욕망하도록 만드는 구조 때문에 욕망하는 기계라는 표현을 감히 썼습니다. 욕망하는 기계는 들뢰즈의 이론이 따로 있는 것 같습니다만.. 정신분석의 지향점은 제가 생각하기에 우리가 가진 시니피앙의 구조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것은 타자의 욕망에서 주체의 욕망, 새로운 욕망, 새로운 환상으로 가는 길이 아닐지.. 새로운 얘기는 아닙니다.
▶서은) 선생님의 이야기 속에서 시지프스 신화를 떠올렸습니다.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내지만 만들어 낸 의미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결국 새로운 욕망을 만들어 내는 반복 속에 정신분석적 실천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현정) 이름뿐인 아버지는 대타자의 대타자가 없다와 같은 의미로 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주체와 마찬가지로 대타자 역시 빗금 쳐 있다는 것을 우리는 환상의 횡단을 통해 알게 되는 거 같습니다.
승만
Q. 왜 라깡이 흑백의 남자였을까요? 색(빛) 곧 현상의 세계를 소멸시키는 죽음충동을 몰고 오기에 흑백인 것인가요? 그리고 왜 ‘남자’라는 기표를 쓰셨을까요? 거기에 남근의 그림자가 어른거리는 것은 아닌지요?
A. 라깡의 흑백사진이 주는 물성 때문에 흑백의 남자라는 표현을 썼습니다만, 라깡에 대한 저한 욕망이 처음에는 아버지, 남근을 찾아 저의 결여를 메우려는 여정이었고, 그 마지막 정착지로 생각했습니다. 그는 저에게 남근으로 와서 실재가 되었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승만) '흑백사진' 속 라깡의 이미지는 '죽은 아버지'라는 개념을 떠올리게 하네요. 라깡의 '상징적 아버지'의 개념이요. ㅎ
'2023 > 1. 왜 정신분석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정신분석인가(김정철) (0) | 2023.01.03 |
---|---|
왜 정신분석인가(백승만) (0) | 2023.01.03 |
왜 정신분석인가(김서은) (0) | 2023.01.03 |